야구 447

2022 KBO 피타고리안 승률 (7월 25일 기준)

간단한 설명은 자료 아래에 적겠습니다. 두 표는 같은 내용입니다.! 피타-순위 팀 피타고리안 득점 실점 실제-순위 피타-실제 1 SSG 0.614 439 348 1 0 2 LG 0.613 444 353 3 -1 3 키움 0.574 383 330 2 +1 4 KIA 0.564 445 391 5 -1 5 KT 0.535 370 345 4 +1 6 두산 0.487 402 413 7 -1 7 NC 0.441 351 395 9 -2 8 롯데 0.421 361 423 6 +2 9 삼성 0.412 370 442 8 +1 10 한화 0.353 349 473 10 0 야구를 한경기 한경기 보다보면 간신히 이길 때, 신들린 선수 교체로 이길 때, 실책 하나로 질 때 등등 실제 전력과는 다른 결과가 나오기도 합니다. 허나 ..

KBO 포지션별시즌 WAR 1위

앞으로 표로 정리하는 글은 이미지로도 첨부해야겠습니다.. === 표시의 위 아래 같은 자료입니다. 작성할 때랑 너무 다르게 게시되는 경우가 많아서ㅠ 오늘은 스탯티즈 기준 WAR (sWAR) 포지션별 1위를 정리해보겠습니다. 포지션 연도 소속 이름 WAR 선발투수 1986 해태 선동열 14.89 구원투수 1993 해태 선동열 10.27 포수 2004 SK 박경완 8.36 1루수 2015 NC 테임즈 10.71 2루수 2014 넥센 서건창 7.63 3루수 2010 롯데 이대호 8.82 유격수 1994 해태 이종범 11.77 좌익수 2004 현대 브룸바 8.37 중견수 1999 LG 이병규 8.07 우익수 2003 현대 심정수 10.19 지명타자 2007 삼성 양준혁 6.72 포지션 연도 이름 출장 이닝 ER..

프로야구/KBO 2022.07.25

2022 홈/원정 차이가 큰 투수들

중계를 보다보면 신기하리만치 홈/원정 방어율 차이가 큰 투수들이 보이더라구요. (물론 시즌이 끝나지도 않았고 표본도 적은 기록입니다) 각각 10이닝 이상을 투구한 선수들을 모아봤습니다. 둘 모두 같은 내용의 표입니다~ 이름 홈 원정 홈-원정 김범수 1 8.41 -7.41 류진욱 2.77 9.2 -6.43 송명기 2.45 7.88 -5.43 강재민 2.03 7.11 -5.08 노바 3.91 8.22 -4.31 김종수 1.42 5.63 -4.21 김재열 2.31 6.08 -3.77 이재학 3.44 6.97 -3.53 임찬규 7.45 4.31 3.14 김택형 6.75 3.38 3.37 고영표 4.61 1.04 3.57 고효준 6.35 2.51 3.84 하영민 3.93 0 3.93 황동재 8.22 4.2 4.0..

KBO 한국시리즈 역대 MVP 후편 (2001-2024)

전편에 이어 후편 작성해보겠습니다.2001. 타이론 우즈 (두산 베어스). 1루수23타수 9안타 타율 0.391 4홈런 8타점 9득점 (6차전 역전 홈런)  2002. 마해영 (삼성 라이온즈). 지명타자24타수 11안타 타율 0.458 3홈런 10타점 (6차천 끝내기홈런)  2003.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투수3경기 3승 (7차전 완봉) 2004. 조용준 (현대 유니콘스). 투수7경기 12.1이닝 무실점 3세이브 (방어율 0.00)  2005. 오승환 (삼성 라이온즈). 투수3경기 7이닝 무실점 1세이브 (방어율 0.00)  2006. 박진만 (삼성 라이온즈). 유격수3차전 결승타 + 호수비 다수  2007. 김재현 (SK 와이번스). 지명타자23타수 8안타 타율 0.348 2홈런 4타점 (3, 5..

프로야구/KBO 2022.07.24

KBO 한국시리즈 역대 MVP 전편 (1982-2000)

저번의 정규시즌 MVP에 이어 한국시리즈의 MVP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주요 기록들만 나열합니다) 마찬가지로 2000년 전/후 2편으로 나누어 작성하겠습니다. 최대한 어울릴 사진을 첨부하려하는데 (특히 시상장면),, 생각보다 찾기가 어려운 경우가 제법 있네요 1982. 김유동 (OB 베어스). 외야수 25타수 10안타 타율 0.400 3홈런 12타점 (6차전 만루홈런) 1983. 김봉연 (해태 타이거즈). 지명타자 19타수 9안타 타율 0.473 1홈런 8타점 1984. 유두열 (롯데 자이언츠). 우익수 한국시리즈 7차전 역전 3점홈런 1985. 없음 (삼성 라이온즈 통합 우승) 1986. 김정수 (해태 타이거즈) 투수 한국시리즈 3승 1987. 김준환 (해태 타이거즈) 우익수 12타수 6안타 타율 0..

프로야구/KBO 2022.07.23

KBO 정규시즌 역대 MVP 후편 (2001-2022)

2000년까지의 MVP를 정리한 전편에 이어 후편 시작해보겠습니다! 2001.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1루수 출장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RC+ 안타 홈런 도루 타점 득점 WAR 127 0.275 0.412 0.605 1.017 155.1 128 39 4 95 101 5.52 2002.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1루수 출장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RC+ 안타 홈런 도루 타점 득점 WAR 133 0.323 0.436 .0.689 1.125 198.5 165 47 1 126 123 8.96 2003.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1루수 출장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RC+ 안타 홈런 도루 타점 득점 WAR 131 0.301 0.428 0.699 1.127 191.2 144 56 7 144 ..

프로야구/KBO 2022.07.22

KBO 정규시즌 역대 MVP 전편 (1982-2000)

오늘은 정규시즌의 MVP들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빨간 글씨는 해당시즌 1위인 기록입니다. 앞으로 KBO에 적을 sWAR(스탯티즈 기준 WAR)은 WAR로 줄여 적겠습니다. 글이 길어져 2000년 전 후 둘로 나누어 쓰려합니다. 그리고 다다음 글은 한국시리즈 MVP일듯 합니다~ 1982. 박철순 (OB 베어스). 투수 출장 이닝 ERA 승 패 세이브 홀드 삼진 볼넷 완투 완봉 WAR 36 224.2 1.84 24 4 7 0 108 67 15 2 9.54 1983.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포수 출장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RC+ 안타 홈런 도루 타점 득점 WAR 98 0.294 0.378 0.555 0.932 170.3 105 27 0 74 53 6.05 1984. 최동원 (롯데 자이언츠). 투수 ..

프로야구/KBO 2022.07.21

KBO 포지션별 시즌 최다 홈런 / 도루

오늘은 포지션별로 가장 많은 도루를 한 라인업을 정리해보겠습니다. 투수로서 홈런을 기록한 선수는 프로야구 원년인 1982년 뿐이네요. 도루는 4명 있습니다. (82삼성 송진호, 96삼성 김헌수, 09한화 김대원, 96현대 설종진) 포지션 연도 소속 이름 홈런 시즌 순위 투수 1982 삼/롯 송진호/이윤섭 1 56 포수 2000 현대 박경완 40 1 1루수 2003 삼성 이승엽 56 1 2루수 2015 삼성 나바로 48 2 3루수 2017 SK 최 정 46 1 유격수 2014 넥센 강정호 40 2 좌익수 2018 두산 김재환 44 1 중견수 2018 KT 로하스 43 2 우익수 2003 현대 심정수 53 2 지명타자 1999 한화 로마이어 45 2 포지션 연도 소속 이름 도루 성공율 시즌 순위 투수 198..

프로야구/KBO 2022.07.20

[WBC] 주목할 만한 중국 선수들

오는 2023 WBC에 같은 조에 편성된 중국 선수들을 몇몇 알아보려 합니다. 그 동안의 국제대회 성적은 좋지 않았고 이번 대회도 크게 기대되는 전력은 아닙니다만, 해외리그의 중국계 선수들이 참가한다면 제법 재미있는 구성이 될 듯 합니다. (물론, 이들이 중국계라 해서 중국 대표로 참가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2022년의 성적은 현 7월 19일 기준의 기록입니다. 주권 Ju Kwon kt 위즈 (KBO) 투수 1995년생 우투우타 181cm, 82kg 중국계 한국인으로, kt 위즈의 핵심 불펜으로 활약하고 있는 투수입니다. 이미 2017년 WBC에 중국대표로 참가했었기에 이번 대회도 중국대표출전이 유력해보입니다. 연도 소속 경기 승 패 세이브 홀드 이닝 삼진 볼넷 ERA FIP WHIP sWAR 202..

2022 KBO 퓨처스리그 팀별 ERA 4.0 이하 투수들

이번엔 KBO 퓨처스리그 투수들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아무래도 투수들은 수시로 1군과 2군을 오가는 경우도 많다보니, 규정이닝을 채우는건 대부분 상무 소속 선수들입니다. 따라서 최소 20이닝 이상의 선수들 중 방어율 4.0 이하를 기록중인 투수들을 적어보겠습니다. 물론 이 기준은 제 임의로 정한것이기도 하기에 참고정도로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인원수 뒤의 + 는 현 상무소속인 선수입니다. 그 뒤는 팀 방어율 입니다. [북부리그] LG 5명 + 1 (4.45) 백승현 2.7 배재준 2.75 이지강 3.02 송승기 3.78 조원태 3.91 이상영 3.23 한화 7명 + 1 (4.57) 김재영 2.94 김기탁 3.42 임준섭 3.51 이재민 3.54 박준영 3.86 김기중 3.89 정이황 3.96 배동현 ..

728x90